2024년 1월 보궐선거

덤프버전 : (♥ 0)

파일:나무위키+넘겨주기.png   관련 문서: 2024년 재보궐선거

파일:투표 아이콘(흰 테두리).svg 대한민국의 주요선거
[ 펼치기 · 접기 ]
종류최근선거다음선거
대통령 선거19대
2017년 5월 9일
20대
2022년 3월 9일
[ 역대 선거 펼치기 · 접기 ]
1대 · 2대 · 3대 · 3.15 · 4대 · 5대 · 6대 · 7대 · 8대 · 9대 · 10대 · 11대 · 12대 · 13대 · 14대 · 15대 · 16대 · 17대 · 18대 · 19대 · 20대
국회의원 선거21대
2020년 4월 15일
22대
2024년 4월 10일
[ 역대 선거 펼치기 · 접기 ]
제헌 · 2대 · 3대 · 4대 · 5대 · 6대 · 7대 · 8대 · 9대 · 10대 · 11대 · 12대 · 13대 · 14대 · 15대 · 16대 · 17대 · 18대 · 19대 · 20대 · 21대 · 22대
전국동시지방선거7회
2018년 6월 13일
8회
2022년 6월 1일
[ 역대 선거 펼치기 · 접기 ]
1952 · 1956 · 1960 · 1991
1회 · 2회 · 3회 · 4회 · 5회 · 6회 · 7회 · 8회
재보궐선거2021년
2021년 4월 7일
2022년 1분기
2022년 3월 9일
[ 역대 선거 펼치기 · 접기 ]
2대 부선* · 1993 · 1994 · 1996 · 1997 · 1998 · 1999 · 2000 · 2001 · 2002 · 2003 · 2004 · 2005 · 2006 · 2007 · 2008 · 2009 · 2010 · 2011( · ) · 2012( · ) · 2013( · ) · 2014( · ) · 2015( · ) · 2016 · 2017(4월 · 5월) · 2018 · 2019 · 2020 · 2021 · 2022(3월 · 6월)
국민투표**6차
1987년 10월 27일
시행 불가능***
[ 역대 투표 펼치기 · 접기 ]
1차 · 2차 · 3차 · 4차 · 5차 · 6차
* 제2대 부통령 선거는 대통령 선거와 병행하지 않고 이시영 부통령의 사임에 의해 별도로 시행한 보궐선거이므로 편의상 보궐선거로 분류함.
** 국민투표는 선거에 포함되지 않으나, 편의상 기술함.
*** 2014년 7월 24일 헌법재판소가 국민투표법 제14조 제1항 내용 중 일부에 대해 헌법 불합치 결정을 내렸으나, 국회에서 추가적인 법률 개정이 이뤄지지 않아 2016년 1월 1일자로 효력을 상실하여 시행 불가함.


2024년 1월 보궐선거
투표일까지

D139
{{{#!wiki style="letter-spacing: -.5px; margin: 0 -10px" 2023년 10월 11일
2023년 하반기 보궐선거
2024년 1월 보궐선거
2024년 4월 10일[1]
202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
}}}}}} ||
선거 결과
정당
기초의원
1. 개요
2. 선거 일정
3. 선거 배경
4. 선거 전 상황
5. 개표



1. 개요[편집]


2024년 1월 31일에 치러질 보궐선거이다. 공직선거법상 지방의회 정원의 1/4 이상이 궐원될 경우에는 실시사유가 확정된 때부터 60일 이내에 재보궐선거를 치러야 하는데, 정원 7석인 대구 중구의회에서 2명이 궐위됨에 따라 202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 이전에 별도로 보궐선거를 치르게 되었다.

규모가 작은 기초의원 선거인데다 단 한 곳에서만 치러지고, 그나마도 보수정당의 텃밭인 대구에서 치러지는 선거인 만큼 큰 관심을 받지 않고 조용히 치러질 가능성이 높다.


2. 선거 일정[편집]


날짜일정
실시사유 확정 즉시예비후보자등록 신청 개시
2024.1.1.까지입후보제한을 받는 자의 사직
2024.1.9.
~2024.1.13.
선거인명부 작성
거소투표신고 및 거소투표신고인명부 작성
군인 등 선거공보 발송신청
2024.1.11.
~2024.1.12.
(09:00~18:00)
후보자등록 신청
2024.1.18.선거기간개시일
2024.1.19.선거공보 제출
선거벽보 첩부
2024.1.22.거소투표용지(선거공보 동봉) 발송
투표안내문(선거공보 동봉) 발송
2024.1.26.
~2024.1.27.
(06:00~18:00)
사전투표
2024.1.31.
(06:00~20:00)
본투표

선거 지역이 대구 중구 가선거구 한 곳 뿐이므로 2023년 하반기 보궐선거에 이어 관외사전투표가 없는 선거가 된다. 선거지역에 주민등록을 두고 있지만 타 지역에 실거주하는 사람이 중구에 직접 가지 않고 투표를 하기 위해서는 거소투표를 신고해야 한다.

3. 선거 배경[편집]


대구광역시 중구 가선거구에서만 선거가 치러져 2인을 선출한다.

전임더불어민주당 이경숙 전 의원
사유주소지 이전으로 인한 피선거권 상실
사유발생일2023년 2월 1일[2]

이경숙 의원은 2023년 3월 17일에 받은 '출석정지 30일 징계 및 공개회의에서의 사과' 징계와 관련하여 취소소송을 제기하였다. 본안소송 이전에 먼저 집행정지 가처분 신청을 하여, 4월 3일 대구지방법원은 심문기일통지서를 중구의회 의장에 발송하였다. 그런데 법원 통지서 상 이경숙 의원의 주소지가 대구광역시 남구로 개재되어 있는 것을 본 중구의회가 주소 이전 사실을 인지하고, 추가로 조사한 끝에 2023년 2월 1일남구주민등록을 옮겼던 사실을 파악하여 4월 7일자로 지방자치법 제90조 제2호에 따른 피선거권 상실로 당연퇴직 절차를 밟게 되었다. # 이후 2023년 4월 10일 대구 중구의회가 선관위에 이 사실을 통보함으로써 퇴직 절차가 완료되어 최종적으로 의원직을 상실하였다.

전임국민의힘 권경숙 전 의원
사유징계에 의한 제명
사유발생일2023년 11월 27일

권경숙 의원은 2019년 1월부터 2022년 9월까지 자신과 아들이 운영하는 업체 2곳을 통해 중구청과 총 17건의 수의계약을 맺어 1천여만 원 상당의 이익을 얻은 혐의로 본회의에서 제명되었다. #


4. 선거 전 상황[편집]


자당에 매우 불리한 선거구지만 2인을 선출하게 된 상황인 만큼 2위 당선을 노릴 것으로 보인다. 자당 출신 이경숙 전 의원의 자리에는 무공천하고, 국민의힘 출신 권경숙 전 의원의 자리에는 공천하겠다고 밝힘에 따라 1명만 공천할 것으로 보인다. #

자당에 매우 유리한 선거구지만, 1석은 국민의힘 출신 의원의 귀책사유로 궐위된 곳이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1명만 공천할 가능성이 있다.

  • 기타
양당이 각각 한 명씩만 공천한다면 2위 자리를 노린 친여 무소속 후보가 난립할 가능성이 있다.

5. 개표[편집]


중구 가선거구
동인동, 삼덕동, 성내1동, 남산1동, 대봉1동, 대봉2동
선출 의원 수
2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0

파일: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.svg
00.00%
20

파일: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.svg
00.00%
30

[[정의당|
파일:정의당 로고타입.svg
]]
00.00%
선거인 수투표율
00.00%
투표 수
무효표 수
[1]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와 동시 실시.[2] 이때 의원직이 상실되었으면 2023년 상반기에 재보궐선거를 치를 수 있었으나 적발시기가 선거 기한인 2023년 2월 28일을 넘긴 후였기 때문에 2024년에 치르게 되었다.


파일:CC-white.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 문서의 r909에서 가져왔습니다. 이전 역사 보러 가기
파일:CC-white.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.
[ 펼치기 · 접기 ]
202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 문서의 r909 (이전 역사)
문서의 r (이전 역사)
문서의 r (이전 역사)
문서의 r (이전 역사)
문서의 r (이전 역사)
문서의 r (이전 역사)
문서의 r (이전 역사)
문서의 r (이전 역사)
문서의 r (이전 역사)




파일:CC-white.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-12-14 02:15:33에 나무위키 2024년 1월 보궐선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.